소소한 재테크5 생활비 줄이는 꿀팁 _ 서울 사랑 상품권(제로페이 상품권)으로 10% 절약 생활비 절약을 위해 현금 소비를 하겠다고 최근에 포스팅한 적이 있었습니다. 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할인받아서 구입하고 소득공제도 받으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시장에서 현금영수증 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요즘은 카드 받아주는 곳은 꽤 있지만 현금으로 구입하고 현금영수증 해본 적, 사실 저도 한 번도 없습니다. 시장에서도 현금영수증 해달라고 하면 꺼려하시고 할 줄 모르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럴 바에는 차라리 시장에서는 체크카드 사용하는 게 나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서울사랑상품권을 이용해 보려고 합니다. 서울사랑 상품권은 자치구청에서 발행하는 제로페이 연계 모바일 상품권으로 관내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월 100만 원까지 10%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 2020. 2. 29. 부자 되는 법_끊어야 할 다섯가지 경제공부를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책을 보거나 유튜브로 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가 구독하고 있는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채널에서 최근 올라온 영상에서 기록하고 싶었던 부분을 남겨봅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투자를 해야 합니다.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투자금이 필요하겠죠. 일반인들이 투자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뿐입니다. 연봉을 높이거나. 소비를 줄이거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소비를 줄여야 할 겁니다. 소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말로는 매우 쉽죠. 1. 돈 쓰는 걸 불편하게 만들어라. 2. 돈 쓰는 걸 체감하게 만들어라. 3. 돈 쓰는 일로부터 나를 격리시켜라. 너무 당연한 건데 디테일하게 무엇을 끊어야 위에 3가지를 실천할 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 신용카드는 싹둑 신용카드는 .. 2020. 2. 26. 안전자산 투자는 필수!! 금테크 (KRX 금거래소 계좌 개설하는법) 최근에 재테크 관련 공부들을 조금씩 시작했습니다. 재테크라는 건 무섭고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고 여유도 없어서 그동안은 오로지 적금밖에 몰랐습니다. 은행에서 주는 이자는 1~2%대로 사실상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부자들은 모두 현금을 들고 있는건 바보라고 합니다. 현금은 계속해서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죠. 어릴 때 때는 1천 원 용돈 받아서 슈퍼에 가면 과자를 몇 봉지는 살 수 있었는데 지금은 한 봉지 사기도 쉽지가 않습니다. 똑같은 1천원인데 돈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돈을 가치가 떨어지지 않는 무언가로 바꿔둬야 합니다. 금, 은, 부동산 같은 것들로 말입니다. 부동산에 투자하고 싶지만 그러기엔 돈이 너무 부족합니다. 주식이나 펀드 역시 아직은 더 많이 공부해 야합니다. 자칫 잘못.. 2020. 2. 25. 냉장고 파먹기_ 명절 음식 활용 베이컨전말이 명절이 지난 지 벌써 한 달이 다 되어가네요~명절의 여파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요즘입니다.저희 집이 연말연초에 제사가 몰려있어서 이맘때는 집에 전이 넘친답니다.평소에도 전을 좋아하지는 않아서 쌓아두는 거에 비해 줄어드는 속도가 너무 느려요. 진짜 마음먹고 전을 헤치우기 위해서! 생활비를 절약하기 위해서! 냉장고파먹기를 해봤습니다. 1+1으로 사놓고 유통기한이 임박한 베이컨과 전을 꺼내봅니다.전은 지퍼백에 넣어서 냉동실에 보관하고 있었습니다.종류는 이것저것 섞어서 두었습니다. 고구마, 소간, 동그랑땡, 오징어 어떤 전도 상관없습니다. 베이컨과 전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줍니다.최대한 길쭉하게 썰되 너무 얇으면 베이컨에 말았을 때 빠지니까 베이컨에 말리는 정도로 최대한 크게 잘라주세요. 오징어도 고구마도 베.. 2020. 2. 24. 부수입의 필요성과 방법_시작은 티스토리 개설하기 저의 요즘 최대 관심사는 재테크입니다. 금융, 경제 관련 지식이라고는 전혀 없어서 요즘 급하게 공부 중입니다. 재테크 관련 카페에도 가입했는데, 다들 저축 및 절약은 기본이고 부수입을 만들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시더군요. 오늘은 그냥 저의 부수입에 관한 생각들을 이것저것 적어 보려고 합니다. 요즘은 너도나도 투잡, 부수입에 관심이 많고 평생직장 평생직업도 없어진 지 오래라 평범한 직장인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일에 치여 사는 직장인들에게 부수입을 만든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저 또한 억지로는 절대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동안 저의 부수입들도 취미로 시작한 일들이 부수입으로 이어진 케이스입니다. 첫 번째 . 블로그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했습니다. 처음 시.. 2020. 2. 17. 이전 1 다음